렬, 률, 열, 율 맞춤법 한방에 정리
이번에는 렬, 률, 열, 율 의 맞춤법입니다. 요건 긴 설명 필요없이 공식처럼 외워야 합니다. '모음으로 끝나는 말 뒤거나, 받침 'ㄴ' 으로 끝나는 말 뒤에는 '열', '율' 입니다. 나머지는 렬, 률 이구요. 외웁시다. 공식 : '모음' 또는 'ㄴ' + '열, 율' 참여율, 지분율, 백분율, 합격률, 탈락률, 체지방률, 행렬, 병렬, 직렬, 청취율, 시청률, 생존율, 사망률, 확률, 성공률, 채택률, 투표율, 참여율, 당선율, 법률, 백분율, 환율
2020. 7. 1.
든, 던, '든지'과 '던지'의 구별법
‘OO든’과 ‘OO던’은 혼동하기 쉬워 자주 틀리는 맞춤법입니다.이번에는 ‘든’과 ‘던’을 구별하는 법을 알아보았습니다.사전적 의미○ -든용언이나 ‘이다’의 어간 또는 선어말 어미 ‘-으시-’, ‘-었-’, ‘-겠-’의 뒤에 붙어, 주로 ‘-든 -든’의 구성으로 쓰여, 나열되어 있는 두 가지의 동작이나 상태, 대상 가운데에서 어느 것이 선택되어도 가리지 않음을 나타내는 말.용언이나 ‘이다’의 어간 또는 선어말 어미 ‘-으시-’, ‘-었-’, ‘-겠-’의 뒤에 붙고, 주로 ‘누가’, ‘언제’, ‘어떻게’, ‘무엇’ 따위의 의문사와 함께 쓰여, 여러 가지의 동작이나 상태, 대상 가운데에서 어느 것이 선택되어도 뒤 절의 내용에는 아무 상관이 없음을 나타내는 말. ○ -던따로 뜻이 나오진 않았습니다.※ 출처: ..
2019. 9. 26.
통째로, 통채로, ~채, ~체, ~째 구분하기
이번에는 ‘통째로’와 ‘통체로’, ’통채로’의 맞춤법을 알아볼텐데요. 다음 국어사전을 찾아보니 통째로가 바른 맞춤법입니다. 통채는 통째의 잘못이고, 통체는 체하여 막힌 것을 통하게 하는 치료법이라는 뜻이네요. ‘통째’는 ‘나누지 않고 있는 그대로의 덩어리로'의 뜻으로 확인이 됩니다. 일반적으로 ‘통째로’, ‘통체로’ 등과 자주 헷갈리면서 ‘통+째로’인줄 알았는데 ‘통째+로’였던 모양입니다. 그렇다면 왜 이런식으로 헷갈려왔는가를 생각해보면, ~채, ~체, ~째 라는 것들을 배웠었기 때문이 아닌가 생각이 듭니다. 헷갈리는 요 세가지의 뜻부터 알아보았습니다. ~채 : ‘있는 상태 그대로’의 의미[의존명사] ~체 : 그럴듯하게 꾸미는 태도나 모양(‘척’과 동의어)[의존명사] ~째 : 명사나 명사구 뒤에 붙어 수..
2019. 7. 12.